인슈텍스

샷시 교체시 벽체단열도 함께해주세요

인슈텍스 시공 노하우

창호단열과 벽체단열의 상관관계

 

 

 

 

오래된 집의 경우 알루미늄 샷시 또는 나무틀로 된 창호로 된 건물에서 

창문단열이 미약하여 좋은 창호로 바꾸실 경우 

창호 단열은 좋아 졌지만 상대적으로 벽체 단열이 약하게 되어 벽체에서

결로가 생기는 경우들을 많이 보았고, 시공도 한 경우들이 있습니다. 

그런 이유로 창호(샷시)를 교체하실 경우 

벽체 단열도 같이 처리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한가지 더 인슈텍스 시공을 부분적으로 처리하시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단열이 가장 취약한 부위는 창호 주변, 외벽의 내부 모서리 상, 하부가 

가장 취약하게 되는데...  분명 부분처리하시면 인슈텍스 시공면은 단열이 되어 문제가 없지만, 

처리하지 않은 외벽의 내부면이 상대적으로 단열이 약하게 되어 결로가 생기고 곰팡이가 생기는 

경우들을 보았습니다. 

그러니 외벽의 내벽은 전체적으로 처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외벽이 한면일 경우 

ㄷ자 형식으로 내벽부분도 30cm가량 같이 처리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참고 하세요!!

 

 

인슈텍스 시공 노하우

인슈텍스 시공 노하우

 

 

 

1. 인슈텍스 두께에 따른 시공 방법 노하우 

인슈텍스 시공 두께는 1회 시공시 2~3mm 두께로 시공을 하는 것을 기준으로 합니다. 

2~3mm두께는 저희 정토글로벌에서 시공을 여러차례 거치면서 평균적인 두께를 잡아 놓은 것입니다. 

가끔 오해의 소지가 있어서 이렇게 공지를 합니다. 

저희 제품 2~3mm만 바른다고 해서 결로가 발생되지 않는다고 저희는 말씀드리지 않습니다. 

시공 두께는 현장여건이 다 다르기 때문에 지역, 건축물의 노화정도, 결로발생양에 따라 더 두껍게  

처리하셔야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저희도 심한 경우에는 2회 작업을 해서 4~5mm로 작업을 해야하고 그렇게 처리했음에도 불구하고  

결로가 생긴다면 더 두껍게 처리를 해야지 안전해 집니다. 

다만 2~3mm시공 후에도 약간의 결로가 생긴다 하더라도 곰팡이가 빨리 진행이 되지 않겠끔  

항균제가 들어가 있다고 말씀드리고 있고, 결로가 발생했다면 결로생긴 부분을 좀 더 두껍게  

처리를 해야지만 다시 결로가 발생되지 않고, 괜찮아 진다고 말씀을 드리는데. 

항균제가 들어가 있으니까 결로가 생겨도 곰팡이는 안피겠지 안심하시는데... 

결로가 생긴 상태로 계속 방치하시면 결국 곰팡이가 서식할 수 있는 조건이 형성이 되기  

때문에 곰팡이는 생길 수 있습니다.  

건식 공법의 방법들은 문제가 생기면 다 철거를 하셔야 되지만 저희 제품은 문제가 생긴 부분을  

좀 더 두껍게 처리를 하면 문제가 해결이 되는 장점이 있는 제품이라고 보시면 될 거 같습니다. 

공사를 맡아 시공시에는 시공에 따른 하자보수를 책임지지만, 셀프시공을 하신 부분에 대해서는 

혹여 약간의 결로가 생긴다면 더 두껍게 처리를 하여 결로가 발생되지 않는 두께로 시공하시기 바랍니다. 

항균제의 기능은 유한합니다. 항균제는 현장 상황에 따라 좀 다르겠지만 

최대 2~3년 정도 기능을 유지 한다고 보여집니다. 

이런 부분을 참고 하시고 오해 없으시기를 바랍니다. 

 

2. 인슈텍스 겨울철 시공 방법 노하우 

 

- 문제가 있는 벽면은 결로로 인해 젖어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 벽체에 시공을 하기위해서는 겨울철에는 강제로라도 벽체를 말리신 다음 시공을 하셔야 되는데... 

셀프시공시에는 집에 있는 드라이기 또는 난로를 이용하여 벽체를 최대한 말리신 다음 

인슈텍스를 시공을 하시고 다시 드라이기나 난로로 최대한 빨리 말려 주셔야 그때부터 단열 효과가

발생이 되기 때문에... 

젖은 벽체시공시에는 강제로 말려야 된다는 것을 유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가장 좋은 시공 시기는 봄, 가을이 좋습니다. 

빨리 건조되고 일하기 적당한 날씨이니까요. *^^*

결로방지 단열마감재 인슈텍스에 대한 질문 베스트6

인슈텍스 시공 노하우

인슈텍스 시공에 대한 질문 베스트 6 

 

 

1. 결로가 생긴 부분만 처리 해도 되나요? 

  결로는 보통 외벽의 내부 모서리 부분과 창문 주변에서

결로가 발생이 되어 곰팡이가 진행이 됩니다.    

    그래서 창문주변과 모서리 부분만 시공해도 되는지

여쭈어 보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결로가 생기는 부분만 처리를 하셔도 효과는 있습니다.

다만 부분처리를 하실 경우 결로가

발생되는 면의 상태에 적절한 두께로

시공을 하셔야 됩니다.

부분처리를 하고 다시 벽지시공을 하실 경우

적절한 두께로 시공을 하지 않았을 경우

다시 결로가 발생되게 되면 벽지가 다시 젖거나

눅눅해지면 벽지위에는 곰팡이가

다시 발생 될 수 있습니다.

 

    결로는 단열이 취약해서 생기게 되는데...

결로가 생긴 부분만 처리하시게 되면

추후 외벽면의 처리하지  않은 부분이

상대적으로 단열이 약하게 되어

단열처리하지 않는 외벽면의 다른  

    부분에서 결로가 발생이  되고 곰팡이가 피게 되므로,

외벽면은 같이 처리를 하시면 좀 더 안전합니다.    

    더 중요한 한가지는  외벽면이 한 면일 경우 

외벽면과 맞다은 내벽면 두면도 약 30cm정도는  

   같이 처리하여  ㄷ자 형식으로 처리를

하시는 것이 안전한 단열시공 방법입니다. 

2. 인슈텍스 2~3mm  두께로 시공을 하고 난

다음 정말 효과가 있을까요? 

    기본두께인 2~3mm는 심하지 않은 평균적인

현장상황일 경우의 두께입니다. 

    현장상태의 정도에 따라 두배두께, 세배 두께로

시공을 하여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슈텍스도 두꺼우면 두꺼울 수록 단열성능이

올라가기 때문에 결로양이 많을 경우

두배두께 정도 처리하셔야 됩니다.

 

    베란다의 경우 결로가 생긴다음

약간의 살얼음이 얼경우

두배 정도 두께가 적당하고,   

    얼음이 두껍게 생길경우는

세배두께 이상으로 시공하셔야

결로를 잡을 수 있습니다.  

 

인슈텍스(insutex) 표준시공두께

구분 

 두께

 시공면적

 비고

 일반두께(기본형)

 2~3mm

 6㎡/18L  can(말,통)

 약간의 결로현상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

 두배두께

 5~6mm

 3㎡/18L  can(말,통)

 결로양이 많거나 살얼음이 생기는 경우

 세배두께

 8~9mm

1,5㎡/18L  can(말,통)

결로로 인해 얼음이 두껍게 생기는 경우

 

TIP. 혹여 인슈텍스를 얇게 시공을 하여 약간의 결로가

생겨도 곰팡이가 빨리 진행되지 않도록 

항균제가 들어가 있어 곰팡이는 빨리 생기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는 결로가 생겨 젖은 부분을 

           말리신 다음 결로가 생긴 부분보다

좀 더 크게 인슈텍스를 덧발라 주시면

단열성능이 올라가게  

           되어  결로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꼭 더 두껍게 처리를 해주셔야

된다는 거 잊지마세요.. 

           그냥 방치하시면 항균기능이 떨어지면

결로가 생긴 부분에 다시

곰팡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3.  석고보드 또는 합판 위에도 시공이 가능한가요? 

     석고보드 위에 곰팡이가 생겼다면 원칙적으로는

석고보드를 뜯어내고 시공을 하셔야 됩니다. 

       아마도 안쪽에서 결로가 생겨 석고보드가

젖고 벽지가 젖어 곰팡이가 생기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그러니 석고보드 안쪽에서 생기는 결로를 잡기

위해서는 뜯어내야 되지만, 벽지를 뜯어낸

석고보드의 상태에 따라 석고보드를 놔두고

그 위에 시공할 수 있는 경우는 약간의 결로로

석고보드가 양호 할경우이고, 공사비용을 줄이고,

최대한의 효과를 위해 석고보드 위에

시공도 가능은 합니다. 

석고보드가 되어있다는 것은 외벽내부에

단열시공이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간혹 스티로폼이 빠진상태의 석고보드가 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석고보드가 되어 있는 부분의 취약점은

석고보드와 석고보드의 이음새부분으로 찬공기나

따뜻한 공기의흐름이 발생이 되어

석고보드 내부에서 차가운표면에서

결로가 발생되는 내부결로현상이 발생이 되어

석고보드가 젖게 되고 그 위의 벽지가

눅눅해지거나 젖게 되면 곰팡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한가지 더 석고보드와 스티로폼을 이용한 단열시공은

면(내부의 외벽면)으로 작업을 하다보니

외벽면과 맞다은 내부면의 끝부분(모서리부분)에서

결로가 발생이 되는 현상들이 많습니다.

이런이유로 외벽면이 한 면일 경우

맞다은 내벽면 두 면을 ㄷ자 형식으로 처리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석고보드를 뜯어내고 시공을 해야 되는 경우는

공사비용이 만만치 않게 나오게 됩니다.

tip 위 사진에서 보듯이 이음새 부분을 조인트 메쉬를 이용해  좀 더

안전하게 처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  인슈텍스를 시공 후 벽지를 해도 되나요? 

     물론 벽지를 하셔도 됩니다. 

벽지를 하시려고 하는 이유는 부분시공을 하셔서 보기 싫으셔서  

    그러실텐데... 될 수 있으면 벽지를 안 하시는 것이 

더 좋다고 말씀드립니다. 

     인슈텍스는 기본적으로 단열재라

단열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습도조절기능도 가지고 있기에  

     벽지를 하면 습도 조절 기능이 저하가 될 수 있고,

시공 후 겨울을 지나야 결로가 생기는지  

     여부를 확인가능한데... 

     혹여 얇게 시공이 되면 벽지가 젖어 벽지위에는

곰팡이가 필 수가 있어서, 벽지를 하시려면 

처음부터 두배 두께 이상으로 하시고 난 뒤 하시거나,

겨울이 지나고 확인을 하시고 난 뒤에 하시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저희에게 시공을 맡겨 주셨던 여러 세대들 중

부분시공 후 시공면이 크게 보기 싫지 않으시다며 

그냥 놔두신 경우들도 많습니다. 

 인슈텍스는 무기질 단열 마감재로 마감을

끝낼 수 있는 제품입니다.

 

5. 인슈텍스 표면이 약해서 문제가 되진 않나요? 

    인슈텍스 샘플시편을 보시면 거의 모든 분들이

손톱으로 표면을 눌러 봅니다. 

    그러시면서 강도가 약해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저희가 시공한 세대나 다른 시공업체에서

시공을 하시고 난 다음 표면이 약해서

문제가 된 적은 없습니다. 

    스크레치 강도는 약하지만 면으로 눌렀을 때의 강도는 강합니다.  

    스크레치 나면 어떻게 하냐고들 하시는데....

보수가 상당히 쉽기 때문에 혹여 스크레치가

생긴다고 하여도 손쉽게 보수가 가능하기에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결로가 안생기게  단열처리를 하여

곰팡이가 안 생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보시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특히 베란다 단열시공의 경우는

스크레치가 생긴다고 하여도 크게 신경쓰이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많이 시공을 하셨습니다.


6.인슈텍스 셀프시공이 가능한가요?

​인슈텍스는 퍼티식의 반죽상태 제품입니다.

그래서 퍼티식으로 헤라로 다양한 무늬를내면서 시공도 가능합니다.


인슈텍스 셀프시공을 하실 때 주의 하실 사항은


1. 셀프인슈텍스단열시공할 부분의 면적을 측정한다.

2. 셀프인슈텍스단열시공 시 필요한 도구를 확인하십시요.

3. 네이버에서 블로그 또는 네이버 카페에서

시공사진 또는 시공 동영상을 참조한다.

4. 인슈텍스 제품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하고 구매한다.

여기에서 면적이 넓어 제품이 3말을 넘어가는 상황이라면

전문가에게 조언을 얻어 셀프로 시공하시거나

전문시공팀에게 맡기시길 권장합니다.

 

베란다 탄성코트 제거 및 인슈텍스 시공사례

http://insutex76.tistory.com/11

인슈텍스 시공 순서

인슈텍스 시공 노하우

 인슈텍스 내부 단열 시공 순서

1. 도포면(시공면) 이물질 제거

벽지제거작업 및 베란다의 경우 페인트 박리가 일어난 부분 제거를  철저히 한다.

곰팡이가 있다면 곰팡이 제거제로 깨끗하게 닦아낸다.

 2. 커버링 작업

시공면이 아닌 다른 부분에 뭍지 않도록 커버링 작업을 한다.

 3. 크랙 충진 및 하도프라이머 작업

크랙부분은 인슈텍스로 잘 메워 작업하면 된다.

 4. 인슈텍스 교반작업

제품을 잘 교반하여 작업성이 좋은 상태로 만든 후 미장 또는

스프레이 작업을 준비한다.

미장작업과 스프레이 작업시 점도는 다르다.

미장작업은 18L말통에 500ml정도 물을 넣어 교반후 사용하고

스프레이 작업시에는 18L말통에 1000ml정도 물을 넣어 교반 후

점도를 확인 후 작업하면 작업이 용이함

5. 스프레이 또는 미장작업

스프레이시에는 콤프레샤 등 장비가 필요하고

미장 작업시에는 미장도구만 있으면 시공이 가능합니다. 

 

인슈텍스 미장시공 동영상

http://tvpot.daum.net/v/v3589Z0QRZ5QF4qIU3BFqRU

 

인슈텍스 셀프시공 시 자주하시는 질문 베스트 6

인슈텍스 시공 노하우

인슈텍스 셀프 시공시 질문 사항들입니다

참고하세요!!

 

1. 결로가 생긴 부분만 처리 해도 되나요? 

  결로는 보통 외벽의 내부 모서리 부분과 창문 주변에서 결로가 발생이

 되어 곰팡이가 진행이 됩니다.    

    그래서 창문주변과 모서리 부분만 시공해도 되는지 여쭈어 보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결로가 생기는 부분만 처리를 하셔도 효과는 있습니다.

다만 부분처리를 하실 경우 결로가 발생되는 면의 상태에 적절한 두께로 시공을 하셔야 됩니다.

부분처리를 하고 다시 벽지시공을 하실 경우

적절한 두께로 시공을 하지 않았을 경우 다시 결로가 발생되게 되면 벽지가 다시 젖거나

눅눅해지면 벽지위에는 곰팡이가 다시 발생 될 수 있습니다.

 

    결로는 단열이 취약해서 생기게 되는데... 결로가 생긴 부분만 처리하시게 되면 추후 외벽면의    

    처리하지  않은 부분이 상대적으로 단열이 약하게 되어 단열처리하지 않는 외벽면의 다른  

    부분에서 결로가 발생이  되고 곰팡이가 피게 되므로,

외벽면은 같이 처리를 하시면 좀 더 안전합니다.    

    더 중요한 한가지는  외벽면이 한 면일 경우  외벽면과 맞다은 내벽면 두면도 약 30cm정도는  

   같이 처리하여  ㄷ자 형식으로 처리를 하시는 것이 안전한 단열시공 방법입니다. 

 

 

2. 인슈텍스 2~3mm  두께로 시공을 하고 난 다음 정말 효과가 있을까요? 

    기본두께인 2~3mm는 심하지 않은 평균적인 현장상황일 경우의 두께입니다. 

    현장상태의 정도에 따라 두배두께, 세배 두께로 시공을 하여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슈텍스도 두꺼우면 두꺼울 수록 단열성능이 올라가기 때문에 결로양이 많을 경우 두배두께 정도    

    처리하셔야 됩니다. 

    베란다의 경우 결로가 생긴다음 약간의 살얼음이 얼경우 두배 정도 두께가 적당하고,   

    얼음이 두껍게 생길경우는 세배두께 이상으로 시공하셔야 결로를 잡을 수 있습니다. 

인슈텍스(insutex) 표준시공두께

 

구분   두께  시공면적  비고
 일반두께(기본형)  2~3mm  6㎡/18L  can(말,통)  약간의 결로현상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
 두배두께  5~6mm  3㎡/18L  can(말,통)  결로양이 많거나 살얼음이 생기는 경우
 세배두께  8~9mm 1,5㎡/18L  can(말,통)  결로로 인해 얼음이 두껍게 생기는 경우

 

 

    TIP. 혹여 인슈텍스를 얇게 시공을 하여 약간의 결로가 생겨도 곰팡이가 빨리 진행되지 않도록          

           항균제가 들어가 있어 곰팡이는 빨리 생기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는 결로가 생겨 젖은 부분을 

           말리신 다음 결로가 생긴 부분보다 좀 더 크게 인슈텍스를 덧발라 주시면 단열성능이 올라가게  

           되어  결로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꼭 더 두껍게 처리를 해주셔야 된다는 거 잊지마세요.. 

           그냥 방치하시면 항균기능이 떨어지면 결로가 생긴 부분에 다시 곰팡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3.  석고보드 또는 합판 위에도 시공이 가능한가요? 

     석고보드 위에 곰팡이가 생겼다면 원칙적으로는 석고보드를 뜯어내고 시공을 하셔야 됩니다. 

       아마도 안쪽에서 결로가 생겨 석고보드가 젖고 벽지가 젖어 곰팡이가 생기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그러니 석고보드 안쪽에서 생기는 결로를 잡기 위해서는 뜯어내야 되지만, 벽지를 뜯어낸 석고

       보드의 상태에 따라 석고보드를 놔두고 그 위에 시공할 수 있는 경우는 약간의 결로로 석고보드가  

       양호 할경우이고, 공사비용을 줄이고, 최대한의 효과를 위해 고보드 위에 시공도 가능은 합니다. 

석고보드가 되어있다는 것은 외벽내부에 단열시공이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간혹 스티로폼이 빠진상태의 석고보드가 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석고보드가 되어 있는 부분의 취약점은 석고보드와 석고보드의 이음새부분으로 찬공기나 따뜻한 공기의

흐름이 발생이 되어 석고보드 내부에서 차가운표면에서 결로가 발생되는 내부결로현상이

발생이 되어 석고보드가 젖게 되고 그 위의 벽지가 눅눅해지거나 젖게 되면 곰팡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한가지 더 석고보드와 스티로폼을 이용한 단열시공은 면으로 작업을 하다보니

외벽면과 맞다은 내부면의 끝부분(모서리부분)에서 결로가 발생이 되는

현상들이 많습니다.

이런이유로 외벽면이 한 면일 경우 맞다은 내벽면 두 면을 ㄷ자 형식으로 처리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석고보드를 뜯어내고 시공을 해야 되는 경우는 공사비용이 만만치 않게 나오게 됩니다.

tip 위 사진에서 보듯이 이음새 부분을 조인트 메쉬를 이용해  좀 더

안전하게 처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  인슈텍스를 시공 후 벽지를 해도 되나요? 

     물론 벽지를 하셔도 됩니다.  벽지를 하시려고 하는 이유는 부분시공을 하셔서 보기 싫으셔서  

    그러실텐데... 될 수 있으면 벽지를 안 하시는 것이  더 좋다고 말씀드립니다. 

     인슈텍스는 기본적으로 단열재라 단열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습도조절기능도 가지고 있기에  

     벽지를 하면 습도 조절 기능이 저하가 될 수 있고, 시공 후 겨울을 지나야 결로가 생기는지  

     여부를 확인가능한데... 

     혹여 얇게 시공이 되면 벽지가 젖어 벽지위에는 곰팡이가 필 수가 있어서, 벽지를 하시려면 처음  

    부터 두배 두께 이상으로 하시고 난 뒤 하시거나, 겨울이 지나고 확인을 하시고 난 뒤에 하시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저희에게 시공을 맡겨 주셨던 여러 세대들 중 부분시공 후 시공면이 크게 보기 싫지 않으시다며 

    그냥 놔두신 경우들도 많습니다. 

    인슈텍스는 무기질 단열 마감재로 마감을 끝낼 수 있는 제품입니다.

 

 

5. 인슈텍스 표면이 약해서 문제가 되진 않나요?

 

    인슈텍스 샘플시편을 보시면 거의 모든 분들이 손톱으로 표면을 눌러 봅니다. 

    그러시면서 강도가 약해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저희가 시공한 세대나 다른 시공업체에서 시공을 하시고 난 다음 표면이 약해서 문제가 된 적은 

    없습니다. 

    스크레치 강도는 약하지만 면으로 눌렀을 때의 강도는 강합니다.  

    스크레치 나면 어떻게 하냐고들 하시는데.... 보수가 상당히 쉽기 때문에 혹여 스크레치가  

    생긴다고 하여도 손쉽게 보수가 가능하기에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결로가 안생기게  단열처리를 하여

곰팡이가 안 생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보시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특히 베란다 단열시공의 경우는 스크레치가 생긴다고 하여도 크게 신경쓰이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많이 시공을 하셨습니다.

 

 

6.인슈텍스 셀프시공이 가능한가요?

​인슈텍스는 퍼티식의 반죽상태 제품입니다.

그래서 퍼티식으로 헤라로 다양한 무늬를 내면서 시공도 가능합니다.

 

인슈텍스 셀프시공을 하실 때 주의 하실 사항은

 

1. 셀프인슈텍스단열시공할 부분의 면적을 측정한다.

2. 셀프인슈텍스단열시공 시 필요한 도구를 확인하십시요.

3. 네이버에서 블로그 또는 네이버 카페에서 시공사진 또는

시공 동영상을 참조한다.

4. 인슈텍스 제품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하고 구매한다.

여기에서 면적이 넓어 제품이 3말을 넘어가는 상황이라면

전문가에게 조언을 얻어 셀프로 시공하시거나

전문시공팀에게 맡기시길 권장합니다.

 

 

 

 

인슈텍스 경기남부 총판점

인슈텍스 전문시공업체  

수원 권선구 일월천로 15번길 21-6 1층 위드제이연구소 (오늘도 감사합니다 작은도서관 옆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