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로방지 단열마감재 인슈텍스에 대한 질문 베스트6
인슈텍스 시공에 대한 질문 베스트 6
1. 결로가 생긴 부분만 처리 해도 되나요?
결로는 보통 외벽의 내부 모서리 부분과 창문 주변에서
결로가 발생이 되어 곰팡이가 진행이 됩니다.
그래서 창문주변과 모서리 부분만 시공해도 되는지
여쭈어 보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결로가 생기는 부분만 처리를 하셔도 효과는 있습니다.
다만 부분처리를 하실 경우 결로가
발생되는 면의 상태에 적절한 두께로
시공을 하셔야 됩니다.
부분처리를 하고 다시 벽지시공을 하실 경우
적절한 두께로 시공을 하지 않았을 경우
다시 결로가 발생되게 되면 벽지가 다시 젖거나
눅눅해지면 벽지위에는 곰팡이가
다시 발생 될 수 있습니다.
결로는 단열이 취약해서 생기게 되는데...
결로가 생긴 부분만 처리하시게 되면
추후 외벽면의 처리하지 않은 부분이
상대적으로 단열이 약하게 되어
단열처리하지 않는 외벽면의 다른
부분에서 결로가 발생이 되고 곰팡이가 피게 되므로,
외벽면은 같이 처리를 하시면 좀 더 안전합니다.
더 중요한 한가지는 외벽면이 한 면일 경우
외벽면과 맞다은 내벽면 두면도 약 30cm정도는
같이 처리하여 ㄷ자 형식으로 처리를
하시는 것이 안전한 단열시공 방법입니다.
2. 인슈텍스 2~3mm 두께로 시공을 하고 난
다음 정말 효과가 있을까요?
기본두께인 2~3mm는 심하지 않은 평균적인
현장상황일 경우의 두께입니다.
현장상태의 정도에 따라 두배두께, 세배 두께로
시공을 하여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인슈텍스도 두꺼우면 두꺼울 수록 단열성능이
올라가기 때문에 결로양이 많을 경우
두배두께 정도 처리하셔야 됩니다.
베란다의 경우 결로가 생긴다음
약간의 살얼음이 얼경우
두배 정도 두께가 적당하고,
얼음이 두껍게 생길경우는
세배두께 이상으로 시공하셔야
결로를 잡을 수 있습니다.
인슈텍스(insutex) 표준시공두께
구분 |
두께 |
시공면적 |
비고 |
일반두께(기본형) |
2~3mm |
6㎡/18L can(말,통) |
약간의 결로현상으로 인한 곰팡이 발생 |
두배두께 |
5~6mm |
3㎡/18L can(말,통) |
결로양이 많거나 살얼음이 생기는 경우 |
세배두께 |
8~9mm |
1,5㎡/18L can(말,통) |
결로로 인해 얼음이 두껍게 생기는 경우 |
TIP. 혹여 인슈텍스를 얇게 시공을 하여 약간의 결로가
생겨도 곰팡이가 빨리 진행되지 않도록
항균제가 들어가 있어 곰팡이는 빨리 생기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는 결로가 생겨 젖은 부분을
말리신 다음 결로가 생긴 부분보다
좀 더 크게 인슈텍스를 덧발라 주시면
단열성능이 올라가게
되어 결로가 발생되지 않습니다.
꼭 더 두껍게 처리를 해주셔야
된다는 거 잊지마세요..
그냥 방치하시면 항균기능이 떨어지면
결로가 생긴 부분에 다시
곰팡이가 생길 수 있습니다.
3. 석고보드 또는 합판 위에도 시공이 가능한가요?
석고보드 위에 곰팡이가 생겼다면 원칙적으로는
석고보드를 뜯어내고 시공을 하셔야 됩니다.
아마도 안쪽에서 결로가 생겨 석고보드가
젖고 벽지가 젖어 곰팡이가 생기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그러니 석고보드 안쪽에서 생기는 결로를 잡기
위해서는 뜯어내야 되지만, 벽지를 뜯어낸
석고보드의 상태에 따라 석고보드를 놔두고
그 위에 시공할 수 있는 경우는 약간의 결로로
석고보드가 양호 할경우이고, 공사비용을 줄이고,
최대한의 효과를 위해 석고보드 위에
시공도 가능은 합니다.
석고보드가 되어있다는 것은 외벽내부에
단열시공이 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간혹 스티로폼이 빠진상태의 석고보드가 되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석고보드가 되어 있는 부분의 취약점은
석고보드와 석고보드의 이음새부분으로 찬공기나
따뜻한 공기의흐름이 발생이 되어
석고보드 내부에서 차가운표면에서
결로가 발생되는 내부결로현상이 발생이 되어
석고보드가 젖게 되고 그 위의 벽지가
눅눅해지거나 젖게 되면 곰팡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한가지 더 석고보드와 스티로폼을 이용한 단열시공은
면(내부의 외벽면)으로 작업을 하다보니
외벽면과 맞다은 내부면의 끝부분(모서리부분)에서
결로가 발생이 되는 현상들이 많습니다.
이런이유로 외벽면이 한 면일 경우
맞다은 내벽면 두 면을 ㄷ자 형식으로 처리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석고보드를 뜯어내고 시공을 해야 되는 경우는
공사비용이 만만치 않게 나오게 됩니다.
tip 위 사진에서 보듯이 이음새 부분을 조인트 메쉬를 이용해 좀 더
안전하게 처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4. 인슈텍스를 시공 후 벽지를 해도 되나요?
물론 벽지를 하셔도 됩니다.
벽지를 하시려고 하는 이유는 부분시공을 하셔서 보기 싫으셔서
그러실텐데... 될 수 있으면 벽지를 안 하시는 것이
더 좋다고 말씀드립니다.
인슈텍스는 기본적으로 단열재라
단열성능을 가지고 있지만, 습도조절기능도 가지고 있기에
벽지를 하면 습도 조절 기능이 저하가 될 수 있고,
시공 후 겨울을 지나야 결로가 생기는지
여부를 확인가능한데...
혹여 얇게 시공이 되면 벽지가 젖어 벽지위에는
곰팡이가 필 수가 있어서, 벽지를 하시려면
처음부터 두배 두께 이상으로 하시고 난 뒤 하시거나,
겨울이 지나고 확인을 하시고 난 뒤에 하시는 것이
더욱 좋습니다.
저희에게 시공을 맡겨 주셨던 여러 세대들 중
부분시공 후 시공면이 크게 보기 싫지 않으시다며
그냥 놔두신 경우들도 많습니다.
인슈텍스는 무기질 단열 마감재로 마감을
끝낼 수 있는 제품입니다.
5. 인슈텍스 표면이 약해서 문제가 되진 않나요?
인슈텍스 샘플시편을 보시면 거의 모든 분들이
손톱으로 표면을 눌러 봅니다.
그러시면서 강도가 약해서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
저희가 시공한 세대나 다른 시공업체에서
시공을 하시고 난 다음 표면이 약해서
문제가 된 적은 없습니다.
스크레치 강도는 약하지만 면으로 눌렀을 때의 강도는 강합니다.
스크레치 나면 어떻게 하냐고들 하시는데....
보수가 상당히 쉽기 때문에 혹여 스크레치가
생긴다고 하여도 손쉽게 보수가 가능하기에
큰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결로가 안생기게 단열처리를 하여
곰팡이가 안 생기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보시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특히 베란다 단열시공의 경우는
스크레치가 생긴다고 하여도 크게 신경쓰이는
공간이 아니기 때문에 많이 시공을 하셨습니다.
6.인슈텍스 셀프시공이 가능한가요?
인슈텍스는 퍼티식의 반죽상태 제품입니다.
그래서 퍼티식으로 헤라로 다양한 무늬를내면서 시공도 가능합니다.
인슈텍스 셀프시공을 하실 때 주의 하실 사항은
1. 셀프인슈텍스단열시공할 부분의 면적을 측정한다.
2. 셀프인슈텍스단열시공 시 필요한 도구를 확인하십시요.
3. 네이버에서 블로그 또는 네이버 카페에서
시공사진 또는 시공 동영상을 참조한다.
4. 인슈텍스 제품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매장을 확인하고 구매한다.
여기에서 면적이 넓어 제품이 3말을 넘어가는 상황이라면
전문가에게 조언을 얻어 셀프로 시공하시거나
전문시공팀에게 맡기시길 권장합니다.
베란다 탄성코트 제거 및 인슈텍스 시공사례